반응형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이다.
일단 프로토콜은 제껴두고 그냥 IP 주소만 생각해보자.
IP 주소
100.100.100.1 같은것이 IP 주소이다.
패킷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할때는 패킷단위로 전송을 하는데 패킷이 무엇일까?
패킷은 출발지 IP, 목적지 IP, 데이터, 기타 등등.. 을 담고 있는 하나의 단위이다.
IP 한계
비연결성
목적지가 없어도 패킷이 전송된다. 상대가 받든 말든 개의치 않고 일단 보내는 것이다.
=> 저장이 안되고 있는데 계속 데이터를 전송 할 수 있음
비신뢰성
탈취되거나 순서보장이 안되는 경우에 대비책이 없다.
예를들어서 상어가 해저케이블을 뜯어먹거나(탈취)
대용량 데이터를 소분해서 전송하는데 전송과정에서 순서가 뒤엉키는 경우(순서보장 안됨)
구분안됨
같은 IP 사용하는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이 둘 이상인 경우 대비책 없음.
(멜론 켜놓고 게임하는 경우)
이러한 IP 의 한계를 TCP에서 해결 할 수 있다.
https://wnsdufdl.tistory.com/617
https://www.inflearn.com/course/http-%EC%9B%B9-%EB%84%A4%ED%8A%B8%EC%9B%8C%ED%81%AC/dashboard
광고아님.
반응형
'개발 > 브라우저와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TP 서론 (0) | 2024.05.18 |
---|---|
TCP UDP (0) | 2024.05.14 |
브라우저에 url 치고 엔터누르면 (0) | 2024.01.10 |
내가 보려고 적어두는 크로스브라우징 (0) | 2023.12.23 |
캐시 ㅎㅎ (0) | 2023.11.30 |